어렸을 적 보던 드래곤볼, 슬램덩크, 원피스 같은 만화는 모두 일본 만화였습니다. 그 시대 일본은 전 세계 만화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그야말로 '만화천국'이었습니다. 지금도 일본은 전체 시장이 6조원에 달하는 세계 최대 만화 시장입니다. 하지만 최근 이 시장을 주도하는 건 디지털 만화, 바로 '웹툰'입니다.
웹툰은 잡지와 출판만화 위주였던 일본 만화 시장을 디지털 만화 중심으로 옮겨오면서 시장에 다시 활력을 불어 넣고 있습니다. 이런 일본 웹툰 시장을 장악한 기업이 카카오픽코마와 네이버웹툰(라인망가)라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만화 강국 일본에서 한국 플랫폼, 한국 IP(지식재산권)가 매출과 인기 양쪽에서 선두를 달리며 전성시대를 맞이한 것입니다.
이런 시점에 라인야후 사태로 일본에서 운영 중인 국산 플랫폼들이 흔들리거나 위축되진 않을까 참 우려스럽습니다. 다행히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의 행정지도가 네이버에 대한 지분 매각 요구가 아니며, 불필요한 외교현안이 되지 않도록 협력하자"며 진화에 나선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일 관계는 웹툰뿐 아니라 다른 일본에 진출한 스타트업들에게도 주요한 사안입니다. 외교적으로 라인야후 사태에 대응할 시간을 번 만큼, 모쪼록 정쟁 대신 실리적인 대응 방안을 차분히 모색하는 기회로 만들 수 있길 바랍니다.
🔊 테크 브리핑
오늘 아침 챙겨 봐야 할 테크 소식
🇰🇷 국내 소식
1. 올해도 1등·2등은 '카카오픽코마'와 '라인망가'...韓이 점령한 日 웹툰 시장 - 네이버웹툰 라인망가와 카카오픽코마가 일본 웹툰 시장에서 변함없이 강한 면모를 뽐내고 있습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일본 양대 앱마켓 매출 순위 1위를 카카오픽코마가, 2위를 라인망가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ore
2. 라인야후 사태에 정쟁 심화…"가만히 내버려둘 순 없나요" - 이달 들어 라인야후를 둘러싼 사태가 한국과 일본 양국의 주요 관심사로 부상하면서 정치권에서 잇따라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허나 업계에서는 정치권의 불필요한 줄다리기가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more
3. "운전하면서도 재밌게"...LG전자, 콘텐츠 경쟁력 강화는 '웹OS'로
- LG전자가 스마트 TV를 넘어 차량과 전기차 등 웹OS 탑재 확대와 콘텐츠 강화로 미디어·엔터 플랫폼 기업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LG전자는 올해 웹OS 관련 분야 매출 1조원을 목표로 웹OS 콘텐츠 확대와 사용 편의성 개선에 나섰습니다.more
🇺🇸 해외 소식
1. 슈퍼사이클 노리는 'AI 아이폰'...기대와 우려 교차
- 중국 시장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던 애플 아이폰이 과감한 할인으로 점유율 방어에 나선 가운데, 시장의 시선은 애플의 AI 전략이 공개될 6월 개발자 콘퍼런스에 쏠리고 있습니다. 'AI 아이폰'은 애플을 위기에서 구해낼 수 있을까요?more
2. 머스크의 xAI, 60억 달러 투자 유치 -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가 60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하며 오픈AI에 대한 도전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리즈 B 라운드 투자는 xAI가 데뷔한 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이뤄진 것으로, 기업가치 240억달러를 인정받았습니다. more
3. 중국, 63조원 규모 반도체 펀드 조성 - 중국이 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해 3440억위안(약 64조7000억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조성했습니다. 이번 펀드는 1차 1400억위안, 2차 2000억위안 규모에 이은 역대 최대 규모로, 반도체 자급자족을 달성하려는 시진핑 주석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more
👀 테크 톡 : 가상자산 상승세에 디파이·웹3 게임도 훈풍
좀 더 깊이 들여다볼 만한 테크 이슈
올 초 비트코인이 현물 ETF 승인 이후 개당 1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이더리움 현물 ETF까지 승인되면서 가상자산 시장이 뜨겁게 달궈지는 모습입니다. 이에 코인 투자 뿐만 아니라 연관된 '디파이(DeFi)'와 웹3.0 게임까지 돈이 몰리고 있습니다.
디파이가 다시 뜬다
- 디파이 데이터 플랫폼 디파이 라마에 따르면 27일 기준 디파이 TVL은 1085억달러(약 148조1567억원)를 돌파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5월 11일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디파이 TVL은 2021년 11월 9일 최고점인 1790억달러를 기록한 이후 하락세를 이어왔습니다. 특히 2022년 5월 테라/루나 사태로 폭락해 디파이 TVL은 1년 이상 400억달러 내외를 등락해왔습니다. 허나 지난해 말부터 가상자산 가격이 회복되면서 디파이 TVL도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웹3.0 게임 투자 봇물
- 웹3.0 게임 업계에도 투자금이 다시 유입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댑레이더에 따르면 지난 4월 블록체인 게임 시장은 투자금 9억8800만달러(약 1조3482억원)를 모았습니다. 지난달 웹3.0 게임 투자금인 1억5600만달러보다 약 5배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이 중 9억8800만달러 중 89%가 투자 회사로 들어갔고, 7%는 인프라 지원, 5%는 웹3.0 게임에 투입됐다. 특히 벤처캐피탈(VC) a16z가 6억달러 규모의 게임펀드를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블록체인 게임 인기도 'UP'
-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4월 기준 블록체인 게임은 일일 평균 290만개의 고유 활성 지갑(dUAW)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디앱, dapp) 산업 활동의 28%를 차지하는 규모입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 보고서에 따르면 블록체인 게임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연평균 68.3% 성장률을 기록하며 3015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