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올해 TV 경쟁을 시작했습니다. 양사는 매출 기준 세계 TV 1위와 2위입니다. 삼성전자는 액정표시장치(LCD) TV를 LG전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LCD가 먼저냐, OLED가 먼저냐
삼성전자는 2025년 TV 신제품으로 네오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TV와 OLED TV를, LG전자는 OLED TV와 퀀텀닷나노셀발광다이오드(QNED) TV를 선보였습니다.
네오QLED TV와 QNED TV는 LCD TV입니다. 퀀텀닷(QD) 필름으로 색 재현력을 개선했습니다. LCD 패널은 중국산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 각각 백라이트유닛(BLU) 제어 등 자체 기술을 더해 차별화했습니다.
OLED TV는 삼성전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패널을,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 패널만 활용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OLED 패널 특성과 기술이 다릅니다. LG전자는 OLED TV를 올레드TV라 지칭합니다.
AI 기능이 차별화 포인트
양사는 올해 신제품의 특성으로 인공지능(AI)을 강조했습니다.
삼성전자는 ▲홈 인사이트 ▲홈 모니터링 ▲클릭 투 서치 ▲실시간 번역 등을 지원합니다. 홈 인사이트는 집 환경을 고려해 '부재 중 기기 전원 끄기'등 필요한 행동을 추전하는 기능입니다. 홈 모니터링은 집 보안 상황 실시간 알림입니다. 클릭 투 서치는 리모컨 AI 버튼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시청 콘텐츠 주요 정보 등을 제공합니. 실시간 번역은 콘텐츠 언어를 자동 판단해 원하는 언어로 자막을 만들어줍니다.
LG전자는 생성형 AI를 장착했습니다. ▲AI 컨시어지 ▲AI 서치 ▲AI 챗봇 ▲AI 맞춤 화면/사운드 모드 등을 제어합니다. AI 컨시어지는 개인화 기능입니다. 맞춤형 콘텐츠 키워드를 제안합니다. AI 서치는 음성 질의에 답변을 주는 기능입니다. AI 챗봇은 서비스센터를 대체합니다. AI 맞춤 화면/사운드 모드는 16억개 화면 모드와 4000만개 사운드 모드 중 시청자에 맞는 모드를 소개합니다.
삼성전자는 오는 12일부터 예약판매를 시작합니다. 출고가는 네오QLED ▲8K 85인치 1620만원 ▲4K 98인치 1300만원 ▲OLED 77인치 899만원 등입니다.
LG전자는 오는 18일부터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올레드TV ▲77인치 기준 640만원부터 ▲83인치부터 920만원부터입니다. QNED TV는 ▲75인치 기준 319만원부터 ▲86인치 기준 459만원부터입니다. 100인치 QNED TV 출고가는 890만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