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한 카카오뱅크가 올해는 포용 금융 확대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통해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습니다. 전 부문에 걸쳐 성장세를 이끌어 낸 역량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 기업가치 제고계획(밸류업)에서 언급한 목표 달성에 더 가까워지겠다는 계획입니다.
지난해 순이익 '사상 최대'
카카오뱅크는 5일 실적발표를 통해 지속적인 고객 유입 및 트래픽 확대를 기반으로 수신과 여신, 수수료·플랫폼 수익 등 등 전 부문의 고른 성장을 이뤄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은 6069억원, 당기순이익은 440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6.8%, 24.0% 증가했습니다. 4분기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1150억원, 84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월간활성 이용자수(MAU)는 1890만명, 주간활성 이용자수(WAU)는 1360만명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트래픽을 달성했습니다.
지난해 카카오뱅크의 여신이자수익을 제외한 비이자수익은 889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대비 25.6% 증가한 규모로, 전체 영업수익 중 30%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올해 카카오뱅크는 제휴사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대출 비교 상품을 주택담보대출로 확장해 고객에게 보다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할 예정으로, 이를 기반으로 대출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종합 금융 플랫폼'으로 거듭난다
대출 비교 서비스와 투자 서비스의 성장에 힘입어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3017억원을 달성하기도 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올해도 해당 서비스와 플랫폼 수익의 성장을 이끌어 나갈 예정입니다.
카카오뱅크는 포용금융과 함께 건전성도 확보했습니다. 중·저신용 대출 비중을 30%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지난해 말 연체율은 0.52%로 안정적인 수준이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앞으로도 데이터 분석 기반의 신용리스크 정책과 신용평가모형 고도화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 노력을 지속한다는 계획입니다.
카카오뱅크는 전문적인 금융 서비스와 혁신적인 서비스를 통해 성장 중심의 밸류업 전략 목표 달성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혁신적인 서비스로는 AI가 결합된 대화형 AI 금융계산기, PLCC 카드, 모바일신분증 서비스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