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중국 반도체 수출규제를 강화했습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반도체 제조 장비 중국 판매를 통제하는 새로운 방안을 추가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메모리 업계 수익성 개선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미 상무부, AI 반도체 필수 'HBM' 통제
2일(현지시각)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오는 31일(현지시각)부터 중국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HBM을 포함한다고 밝혔습니다.
HBM은 D램을 수직으로 쌓아 기존 D램 대비 같은 용량일 때 크기를 줄이고 속도를 높인 제품입니다. 주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인공지능(AI) 반도체 패키지에 들어갑니다. BIS의 HBM 수출규제 기준은 메모리 대역폭 밀도가 제곱밀리미터당 초당 2GB보다 높은 제품입니다. 1세대 HBM 제품까지 포괄해 사실상 모든 HBM이 적용됩니다.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을 적용해 미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도 미국 ▲기술 ▲소프트웨어(SW) ▲장비를 활용했다면 규제 대상입니다. 현재 HBM을 제조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테크놀로지 3사가 해당합니다. 중국에 HBM을 보낼 수 있는 예외 신청은 미국이나 동맹국에 본사를 둔 업체일 때로 한정했습니다.
단기적 여파는 제한적...장기적으론 '미지수'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로 3사 중 삼성전자의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국 업체와 거래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다만 삼성전자 역시 D램 전체 매출 중 HBM 비중이 높은 편은 아니어서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입니다. HBM 수요 대부분은 엔비디아 등 미국 반도체 설계(팹리스) 회사입니다.
삼성전자는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잘 검토해 차질이 없도록 대응하겠다“라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평가를 유보했습니다.
장기적 예상은 엇갈립니다. HBM은 아직 공급자 우위 시장입니다. 매출에 비해 수익성이 높은 이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국 판매 중단이 신규 고객 확보 지연으로 이어질 경우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는 시기가 당겨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진입 등 특정 고객사로 HBM 수요가 몰리는 점도 부정적입니다. 가격 협상력 약화도 우려됩니다. 기대에 비해 HBM 수익성이 빠르게 낮아지거나 정체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수출규제가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이겠지만 장기적 영향은 면밀하게 살펴봐야 유불리를 따질 수 있어 보인다"라며 "지속적인 중국 수출규제 강화로 인한 AI 반도체 수요 변동 등도 따져봐야할 문제"라고 분석했습니다.
BIS는 이날 반도체 제조 장비 24종과 SW 3종을 규제 목록에 더했습니다. FDPR도 포함돼 한국 반도체 제조 장비 업체에게는 부정적 소식으로 풀이됩니다. |